조던 필 감독의 겟아웃은 2017년 작품으로 단순한 공포영화가 아니라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심리적인 스릴러물이자 인종 비유극입니다. 이 작품은 백인 사회 속 감춰진 인종차별의 은밀한 구조를 날카롭게 드러내면서도 관객에게 불쾌하면서도 강렬한 몰입을 선사합니다. 또한 마지막 충격적인 결말은 영화를 다 보고 난 후에도 뇌리에 깊게 박힙니다. 이번 글에서는 겟아웃 해석, 미스터리 공포의, 충격결말의 주제를 가지고 작품의 깊은 메시지를 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겟아웃 해석
겟아웃 해석이 의미 있는 점은 미국 사회의 인종적 위선을 비판하면서도 상징적인 서사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영화라는 점입니다. 주인공인 크리스가 백인의 연인 로즈의 부모님 집을 방문하게 되면서 겪게 되는 일화를 바탕으로 영화는 시작됩니다. 표면적으로 친절한 로즈의 가족들은 어딘가 괴이하고 비정상적인 분위기를 풍깁니다. 집에서 일하는 흑인들, 그리고 파티에서 만난 흑인 또한 자신이 알던 흑인들의 패션과 말투가 너무 다르다는 것에 이상하다고 느끼던 크리스는 결국 로즈의 어머니에 의해 최면에 걸리게 되고, 그렇게 뇌를 지배당하게 됩니다. 이러한 장면들은 사실상 흑인의 신체와 정신을 지배하려는 백인들의 인종적 착취로써의 욕망을 보여줍니다. 단순한 공포스러운 장면의 연출이 아니라 무의식 속에서 목소리를 빼앗긴 존재들에 대한 은유로, 영화 속 침몰하는 공간은 흑인들이 사회 속에서 억눌리고 통제당하는 심리적인 상태를 연출한 장면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조던 필 감독은 이를 통해 현대 사회의 인종차별은 폭력이 아니라 미소로 다가온다는 섬뜩한 메시지를 전합니다. 겟아웃의 인물 구도는 고전적인 공포의 틀을 전복하게 되는데, 이는 괴물은 외부가 아니라, ‘친절한 얼굴을 한 내부자’에 있다는 메시지를 보여주며, 사회적 공포를 일상으로 끌어내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도 실제 현실의 위선과 맞닥뜨리게 만듭니다.
미스터리 공포
미스터리 공포물인 겟아웃은 공포를 갑작스러운 놀람이 아닌 ‘불편함의 축적’으로 만듭니다. 영화 초반부터 느껴지는 기묘한 정적과 어색한 대화들, 그리고 비정상적으로 과장된 백인들의 미소들은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 심리적인 압박과 스트레스를 안겨줍니다. 특히 집안의 흑인 하녀와 경비원의 행동은 기계적이면서도 괴이하고, 눈빛에서는 감정을 읽을 수 없습니다. 이는 이미 로즈의 어머니에 의해 뇌가 지배당했다는 것을 암시해 주는 장면이었습니다. 이렇듯 영화에선 낯선 평온함이 점차 불안을 증폭시키며, 결국 공포의 본질이 ‘통제와 관찰’ 임을 드러내게 됩니다. 또, ‘침몰하는 장면’에서 크리스가 의식 속 저 밑으로 내려가는 순간, 카메라는 위로부터 내려다보며 관객에게 빠져나갈 수 없는 ‘무력감’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합니다. 흑인 캐릭터가 카메라 플래시를 통해 현실로 깨어나는 장면 또한 ‘빛’은 진실을 드러내는 도구이자 억압에서 벗어나는 수단임을 잘 표현해 냈습니다. 겟아웃은 폭력 대신, 사회적 심리와 일상의 불안감으로 스토리를 공포로 몰아넣습니다. 이러한 감정의 전이는 영화가 끝나고 나서도 쉽게 사라지지 않고, 오래도록 뇌리에 남습니다. 결국 이 작품은 공포는 괴물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사회 속 태도와 시선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줍니다.
충격결말
충격결말의 대명사인 겟아웃은 영화의 끝으로 갈수록 절정에 치닫습니다. 크리스가 로즈의 어머니에 의해 최면에 걸리면서 뇌를 지배당하고, 자신의 신체를 빼앗으려는 백인 가족들에게 맞서다 결국은 탈출에 성공하게 됩니다. 이 장면은 단순한 생존의 승리만이 아니라 억압되었던 자가 스스로 정체성을 되찾고, 지배 구조를 무너뜨리는 상징적 장면입니다. 특히 마지막에 등장하는 경찰차는 관객들을 숨죽이게 만듭니다. 왜냐하면 크리스가 살인을 한 상황에서 경찰이 등장하게 된다면, 사회는 그를 ‘피해자’가 아닌 ‘범죄자’로 규정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차에서 내리는 것은 친구 로드였고, 이 반전은 단순한 구원이라기보다 ‘정의의 회복’을 의미하게 됩니다. 조던 필 감독은 결말을 통해 “진정한 탈출은 물리적 공간에서가 아니라, 구조적 억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임을 말합니다. 하지만 영화는 결코 안심할 여지를 주지 않고 침몰하는 공간은 여전히 존재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그곳으로 끌려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메시지를 던집니다. 그래서 겟아웃의 결말은 해방이 아니라 ‘경고’에 가깝습니다. 어쩌면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 현실의 부조리를 직시하라는 강렬한 외침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회의 민낯을 드러낸 명작 겟아웃은 인종차별, 정체성, 통제라는 주제가 교차하며 나타나고 관객들을 끝까지 긴장시키는 작품입니다. 영화의 전반적인 장면들을 통해 “누가 인간의 자유를 통제하는가”라는 본질적 질문을 던지고, 이 영화는 ‘무섭다’보다 ‘불편하다’에 가까운 작품입니다. 또한 그 불편함 속에서 진실을 마주하게 만들기 때문에 영화를 보는 내내 깊은 생각에 잠기게 됩니다. 이 영화를 아직 보지 않으신 분이 계시다면 처음부터 끝까지 한순간도 버릴 타선이 없는 영화이니 꼭 한번 봐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